AI 재생성 기사
기후 위기 시대, 보험업계의 혁신과 도전
보험업계가 기후 변화라는 새로운 도전에 맞서기 위해 혁신적인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 22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개최된 ‘2025 SGIS 사이먼글로벌 보험세미나’에서는 기후변화와 해상풍력, 리스크 엔지니어링을 중심으로 보험산업의 미래를 논의했다. 이번 세미나는 SGIS와 한국공제보험연구소가 공동 주최했으며, 보험과 공제의 협력이 어떻게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이끌어낼지에 대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오세문 사이먼글로벌 그룹 회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세미나는 기후 위기에 집중해 ESG, 해상풍력, 위험관리 등 다양한 영역을 탐구했다”며 “보험과 공제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상호 학습과 협력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험업계가 단순한 보상자에서 리스크 설계자로 역할을 전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해상풍력과 같은 새로운 사업 영역에서 보험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태경 보험연수원 원장은 축사에서 국내 금융 산업의 혁신 속도가 느린 점을 지적하며 “핀테크와 인슈어테크를 육성하기 위해 기존 보험사보다 경제적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혁신 금융이 아이디어로 승부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보험업계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솔영흡 전 코리안리 전무는 ‘기후변화로 인한 국가의 흥망성쇠’를 주제로 발표하며 “기후 변화는 문명 성쇠의 결정 변수”라며 “보험산업은 초연결 시대의 ‘보이지 않는 방파제’로서 인류 문명의 지속가능성을 떠받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탄소 제로나 ESG의 이념보다 예측과 회복탄력성 설계가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수 메리츠화재 기업리스크컨설팅 파트장은 해상풍력발전사업의 리스크를 분석하며 “국내 시장에서는 맞춤형 담보 설계가 핵심”이라며 중국 공급망 확대와 해저케이블 손상 등 주요 리스크를 꼽았다. 그는 보험사가 단순 보상자에서 리스크 설계자로 역할을 전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 MS&AD 인슈어런스 그룹의 미와 타카시 부장은 ‘기업 방재 활동의 방향과 리스크 엔지니어링’을 주제로 발표하며 “재해를 불가항력으로 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데이터 기반의 사전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물리적 복구보다 공급망 회복력이 중요하며, 기업·보험·지자체가 데이터를 공유해 예방형 사회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는 보험업계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펼쳐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했다. FC들은 이러한 변화를 고객 상담에 반영하며, 보험업계의 혁신적인 전환을 이끌어야 할 것이다. 보험과 공제의 협력,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리스크 관리가 보험업계의 미래를 결정할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