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초고령사회 돌입에 따른 노후소득 대책이 새로운 형태로 등장했다. 기존에 사망 후 유족에게 지급되던 보험금을 생전에 선지급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주요 생보사들에 의해 도입됐다.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 KB라이프 등 5개사가 이 제도를 동시에 시행하면서, 약 41만 4천건에 달하는 종신보험 계약자들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전체 규모는 23조 1천억원에 이른다.
이번 서비스는 기존 보험상품의 유동성을 높여 초고령층의 현금 흐름을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히, 보험금 일부를 연금 형태로 수령할 수 있어 소득 공백을 메우는 실질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FC들에게는 고령층 고객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상담 포인트가 추가된 셈이다.
업계에서는 이 제도가 보험사의 신규 상품 개발과 기존 상품 리뉴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종신보험 판매 전략에서 유동성 강화를 주요 메리트로 내세울 수 있게 됐다. FC들이 고객 상담 시 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면, 고령층 고객의 재무 설계에 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는 고객의 재무 상황과 목표에 맞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FC들은 고객들에게 사전에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장기적인 재무 계획을 고려한 상담이 필요하다. 또한, 보험금 일부를 미리 수령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유족의 손실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금융위원회는 내년 초까지 전 생보사로의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금융혁신의 일환으로, 보험상품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앞으로 FC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