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농협금융그룹 전반에 걸친 내부 통제 시스템의 총체적 재점검 요구가 금융당국으로부터 제기됐다. 최근 중앙회장을 비롯한 핵심 임원들의 연이은 비리 의혹과 계열사들의 운영 부실이 드러나면서 업계 신뢰도 추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7일 국회 정무위 종합감사에서 NH농협생명의 불법 리베이트 의혹을 '중대 위법 사안'으로 규정하고 강력한 제재를 예고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현장검사와 형사절차가 진행 중임을 확인하며, 농협중앙회 중심의 전면적인 내부통제 개선을 지시했다. 특히 20억원 규모의 핸드크림 수의계약 과정에서 최대 9억원의 비자금 조성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조직적 비리 여부에 대한 수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은행 부문에서도 심각한 내부 사고가 다수 발생했다. 2024년부터 올해 8월까지 농협은행에서 보고된 10건의 금융사고 중 절반이 직원 배임·횡령 등 내부자 범죄로, 총 293억원의 피해가 확인됐다. 특정 지점에서는 감정평가기관 선정 과정에서 44회에 걸쳐 반복 의뢰를 통해 과다대출을 유도한 사례가 적발되기도 했다.
보험 계열사 역시 운영상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농협손해보험의 농작물재해보험은 손해율 300% 이상 지역에서 보험료가 최대 50% 할증되는 역진적 구조로 비판을 받고 있다. 보험금 수령 이력이 있는 농가의 재가입 제한 문제도 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FC들은 이러한 사태가 보험업계 전반의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특히 농협 계열사와 거래 중인 고객 상담 시 추가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향후 모든 농협금융 계열사에 대한 감독을 강화할 방침으로, FC들은 관련 정책 변화를 면밀히 추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