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재생성 기사
고령화 시대, 치매·간병보험 시장 '급성장'…보험사들 상품 혁신 경쟁
보험 시장에서 치매와 간병 관련 보험 상품이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보험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치매·간병보험 초회보험료는 약 8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0%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이미 821억원이 판매되며 연말까지 1,600억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고령화 심화와 함께 치매 환자 수가 급증하면서 민간보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추정에 따르면 2024년 기준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약 105만명에 이른다.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이 2,639만원에 달하는 등 가계 부담이 커지면서, 공적 장기요양보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개인 보험 가입이 늘고 있다. 공적 요양보험 수급자 수는 2015년 47만명에서 2024년 117만명으로 10년 새 2.5배 증가했으나, 재정 압박으로 인해 올해 적자 전환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보험사들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상품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존 중증치매 중심의 보장에서 벗어나 경도인지장애(MCI)까지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생활자금·검사비·간병 일당 등을 결합한 복합형 상품을 잇따라 출시 중이다. 특히 간병비 일당을 기존 15만원에서 최대 20만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보장을 강화하며 40~50대 중장년층까지 고객층을 넓히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표적치매치료제 '레캠비(Leqembi)' 투여비용을 보장하는 상품이 등장하는 등 차별화된 보장도 늘고 있다. 레캠비는 국내 도입 시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연간 2,000만~3,000만원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민간보험의 수요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또한 주야간보호센터 이용을 담보로 하는 상품도 신한라이프 등 6개사에서 출시되며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치매와 간병이 더 이상 노년층만의 문제가 아니며, 중장년층도 노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적 제도의 재정 한계가 뚜렷해지는 만큼, 민간보험의 보완적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