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AI뉴스 RSS

AI 전문 분석 | 금융감독원 판례·분쟁조정 | 보험정책·신상품

DB손보, ‘건강할때 준비하는 행복케어종합보험’ 출시

만성질환 관리 강화로 보험업계 혁신 돌입 DB손해보험이 건강 관리와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새로운 종합보험 상품을 17일 공개했다. 이번 상품은 만성질환부터 중증질환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업계 최초로 현물보장 담보를 도입해 주목받고 있다. 최근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번 상품은 생활질환 관리부터 중증질환 치료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특히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진단 시 각각의 질환에 맞춘 스마트 건강 관리 기기를 제공하며, 카카오헬스케어와의 협업으로...

최신 기사

  • 2

    “복합 위기 시대, 보험사의 역할이 중요해진다”

    복합 위기 시대, 보험사의 사회적 안전망 역할 확대 전망 글로벌 보험사 AXA가 최근 발표한 '2025 미래 위험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와 지정학적 불안 등 복합적 위험 요인이 사회 전반의 불확실성을 가속화하고 있다. 57개국 보험 전문가 3,595명...

  • 3

    보험사 CEO, 국감 출석 대거 ‘제외’

    풍수해보험 관련 국감 증인명단, 보험사 CEO 대신 실무 임원으로 변경 금융업계 관심 집중... "FC들이 주목해야 할 점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주요 손해보험사 CEO들의 증인 출석이 임원급으로 변경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4일 ...

  • 4

    우리은행, ‘AI 생산적 금융’ 시대 연다

    우리은행이 AI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대규모 금융 지원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지난 17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및 신용보증기금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AI 유망 기업들에게 총 2300억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을 공급할 계획이다. ...

  • 5

    삼성화재, 모빌리티뮤지엄서 ‘카르르 세이프티 빌리지’ 개최

    삼성화재,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으로 보험 브랜드 가치 제고 삼성화재가 차세대 고객을 위한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18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매주 주말 동안 경기도 용인 모빌리티뮤지엄에서 ‘카르르 세이프티 빌리지’를 운영한다. 이번 행사는 킥보드...

  • 6

    NH농협은행, 금융위원회 테크평가서 ‘기술금융 경쟁력’ 입증

    NH농협은행, 기술금융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중소기업 지원 강화 NH농협은행이 기술금융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중소기업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7일 공개된 금융위원회 주관 '2025년 상반기 기술금융 테크평가' 대형리그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며, 특히 신...

  • 7

    KB라이프, ‘생성형 AI Agent 서비스’ 전사 오픈

    KB라이프생명, AI 기반 업무 혁신 본격화…FC 업무 환경 대변화 예고 KB라이프생명이 21일부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본격 도입한다. 이번 조치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 혁신의 일환으로, 특히 보험설계사(FC)들의 고객 ...

  • 8

    “제2의 실손 될라”…생보사, 요양실손 외면

    금융당국이 올해 4분기 중 요양실손보험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지만, 생명보험사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업계에서는 요양실손보험의 손해율 문제와 제2의 실손보험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상품 출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요양실손보험은 노인장기요...

  • 9

    여행자보험 올해 1천억 규모 전망…신계약 37%↑

    해외여행 붐 타고 여행자보험 시장 '들썩'…FC들 영업 기회 확대 올해 들어 여행자보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관련 보험 상품 판매도 함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 통계에 따르면 주요 보험사 9곳의 여행자보험 신규 계약...

  • 10

    혈액·소변검사 뒤에 숨은 수십 년 관행, 정부가 칼 뺐다

    보건복지부가 의료 검사 비용 구조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오랜 기간 논란이 되어온 검체검사 위탁관리료 체계를 전면 재검토하며, 의료계와 검사센터 간의 비정상적 비용 정산 관행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현재 동네 병·의원과 검사센...